화이트 컨셉을 위한 파워서플라이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II 화이트

 

  화이트 컨셉을 위한 PC를 구성할 때 파워서플라이 선택에 고민을 한 번쯤 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파워서플라이 본체가 화이트면 케이블이 블랙이고, 케이블까지 화이트가 들어가면 커넥터가 블랙이고 이렇게 하나씩 블랙이 들어가는데 화이트 컨셉 시스템을 꾸밀 때 모두 다 화이트 컬러가 적용된 파워서플라이를 원했는데요!

 

  마이크로닉스 자체 개발 플랫폼을 적용해 가성비가 뛰어난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2 풀체인지 모델을 화이트 버전으로 새롭게 출시했습니다.

 

  클래식화이트 파워서플라이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화이트

스펙 및 특징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2 풀체인지 파워서플라이 특징을 상자 위에 표현해 두었는데요, 80플러스 브론즈 인증과 사이버네틱스 스탠다드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마이크로닉스에서 개발한 하이브리드-E 플랫폼 적용, 6년 동안의 보증기간을 제공하는 파워서플라이입니다.

 

 

 

  마이크로닉스 홈페이지 내 상품설명의 스펙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ATX 규격의 파워서플라이로 12V 싱글 레일 700W 출력을 가지고 있어 3060이나 3060TI 정도의 그래픽카드는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80플러스 브론즈 인증을 받은 클래식화이트 인증 내역을 살펴보면 50% 로드에서 최대 88.23%의 높은 효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10% 구간에서 최저 84.23%, 평균 86.96%의 높은 효율을 기록하고 있어 브론즈 인증을 받은 제품이지만 브론즈 이상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https://www.clearesult.com/80plus/

  80플러스 인증 사항은 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꼭 위제품이 아니더라도 궁금한 제품을 검색해 보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클래식 화이트

패키지 살펴보기

 

  민트와 화이트 컬러가 적절히 조합된 깔끔한 박스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후면에는 클래식 2 풀체인지 파워서플라이 특징을 상세하게 표현해 두었습니다.

 

 

 

  상자를 열어보면 화이트 컬러의 파워서플라이 본체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내용물을 모두 꺼내보면 순백색의 클래식 화이트 파워와 고정나사, 전원 케이블, 매뉴얼이 포함되어 있으며,

 

 

 

  매뉴얼은 제품 특징과 서비스 방법 등을 상세하게 설명해 두었습니다.

 

 

 

 

화이트와 민트의

환상적인 조합

 

  화이트 컬러에 민트 색상 글자로 포인트를 준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2 풀체인지 화이트 파워서플라이 케이블과 커넥터, 120mm 쿨링팬까지 모두 화이트 컬러를 사용하였습니다.

 

 

 

  후면에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통풍구를 마련해 두었으며,

 

 

 

  하단에 전압 출력 범위와 인증 사항, 시리얼 번호 등을 넣어 두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분해를 막기 위한 스티커도 부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6년 동안의 보증기간을 제공하는 만큼 보증기간 내에는 이 스티커가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케이블 구성

및 설치

 

  커넥터까지 모두 화이트 색상을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2 풀체인지 화이트 파워서플라이 케이블은 넉넉한 길이로 미들타워 케이스에 넉넉하게 사용이 가능할듯합니다.

 

 

 

  커넥터까지 모두 화이트 컬러의 클래식화이트 케이블은 24핀 메인 케이블은 슬리빙 처리되어 있으며, 나머지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케이블 구성은 8+(4+4) CPU 보조전원 케이블 1개와 6+2 VGA 전원 케이블 2개에 커넥터 4개, 4핀 IDE 커넥터 2개, SATA 커넥터 6개를 제공해 넉넉한 확장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커넥터까지 모두 화이트 컬러를 사용한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화이트 파워서플라이를 설치해 보면 ATX  규격의 파워서플라이를 지원하는 케이스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커넥터까지 모두 화이트를 사용하고 있는 만큼 그래픽카드와 메인보드 등 연결되는 제품이 화이트 컬러를 사용하고 있다면 더욱더 잘 어울릴 것 같아 화이트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시는 분들께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제품이라 생각합니다.

 

 

 

 

마닉 클래식 화이트

전압 변동 살펴보기

 

  인텔 i5-12500, Z690 메인보드의 조합으로 전력 제한 해제 후 사용 중인 시스템에서 전압 변동을 테스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0분 동안 유휴상태에서 전압 변동을 측정해 보면, 12V, 5V, 3.3V 저압 변동 없이 완벽한 일자를 그리고 있으며, 하드웨어 인포를 통해 전압 변동을 확인했을 때 역시 거의 변동 없이 일정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풀로 드 상태에서 전압 변동을 측정해 보면 유휴상태일 때와 같이 거의 전압 변동 없이 일정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상당히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 한 파워서플라이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내구성 강화를 위한

애프터 쿨링 적용

 

  특히 시스템 전원이 꺼진 후에도 파워서플라이 내부의 온도를 내려줄 수 있도록 쿨링팬이 작동해 내부 열기를 제거함으로 인해 파워서플라이 수명을 늘리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 받은 기술인 애프터 쿨링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화이트 시스템을 위한 파워

마닉 클래식 화이트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2 풀체인지 화이트 파워서플라이는 커넥터까지 모두 화이트 컬러를 사용해 화이트 컨셉의 시스템을 꾸미기 위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파워서플라이입니다.

 

  컬러뿐 아니라 성능 부분을 살펴보아도 일정한 전압 유지 수준으로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며, 오토 팬 기능을 통해 부하에 따라 팬 속도를 조절해 조용한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특히 애프터 쿨링 기능을 넣어 보다 더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한 제품으로 성능과, 안정성까지 모두 담은 화이트 컬러 파워서플라이입니다.

 

  화이트 컨셉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시다면 커넥터까지 모두 화이트 컬러이며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는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2 풀체인지 화이트 파워서플라이를 추천드립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6342190&cate=112777

 

 

 

 

"이 체험기는 (주)한미마이크로닉스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파워, #파워추천, #파워서플라이추천, #화이트파워, #화이트파워서플라이, #파워서플라이, #ATX파워, #클래식화이트, #조립PC, #마이크로닉스, #3060파워

 

 

PCIe 4.0 NVMe M.2 SSD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PC를 구입하거나 조립할 때 저장 장치로 어떤 걸 선호하시나요?

 

  저의 경우 메인보드에 바로 장착해 케이블 없이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는 M.2 SSD를 선호합니다.

 

  그중에서도  PCIe 3.0 x4 대비 큰 폭으로 증가된 대역폭으로 인해 더욱 빠른 읽기/쓰기 성능을 가지고 있는 PCIe 4.0 x4 M.2 SSD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마이크론 PCIe 4.0 x4 NVMe M.2 SSD Crucial P5 Plus 500GB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스펙 확인
 

  마이크론 Crucial SSD P5 Plus SSD는 2280 규격의 M.2 SSD로 500GB, 1TB, 2TB 세 가지 용량이 출시되었으며, 오늘 살펴볼 500GB 제품은 스펙상 최대 읽기 6,600MB/s, 쓰기 4,000MB/s의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용량 증가에 따라 4K 랜덤 읽기 속도와 최대 쓰기 속도, 내구성이 증가하는 만큼 더욱 빠른 제품을 원하시면 2TB의 넉넉한 용량의 SSD를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CIe 3.0 x4 대비 큰 폭으로 증가된 대역폭을 사용하는 PCIe 4.0 x4 인터페이스와 마이크론의 176단 3D TLC 낸드플래시 사용으로 스펙상 엄청난 속도의 읽기/쓰기 속도를 가지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관적인 패키지

마이크론 Crucial SSD

 

마이크론 Crucial SSD P5 Plus M.2 500GB 패키를 살펴보면 마이크론 SSD 특유의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박스 상단의 제품명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뒷면에는 작은 투명 플라스틱 사이로 SSD 본품을 살짝 들여다볼 수 있으며 마이크론 SSD의 특징을 간단하게 적어 두었습니다.

 

 

 

  또한 5년 보증을 제공하는 마이크론  Crucial SSD의 보증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앞면의 정품 스티커를 SSD에 부착해 두어야 합니다.

 

 

 

  내용물을 꺼내보면 플라스틱 트레이에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500GB SSD와 메인보드에 M.2 SSD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나사가 담겨 있으며, 간단 매뉴얼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뉴얼은 다양한 나라의 언어로 URL을 설명하는 정도의 간단한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블랙 컬러의 깔끔한 SSD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외형을 살펴보면 블랙 컬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단에 제품명이 적힌 스티커가 있어 컨트롤러와 낸드플래시 확인이 어렵지만 마이크론 자체 컨트롤러와 낸드플래시, 디램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하단에는 제품명과 용량, 시리얼 번호 등이 적힌 스티커가 붙어있는 M.2 2280 규격의 SSD입니다.

 

 

 

  M.2 2280 규격의 SSD는 라이터만 한 크기에 케이블 없이 메인보드에 바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깔끔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지만,

 

 

 

  마이크론 Crucial P5 Plus가 PCIe 4.0 x4를 지원하는 만큼 제 속도를 내려면 메인보드 M.2 슬롯에서 PCIe 4.0 x4를 지원해야 하니 구입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케이블 없이 간단하게 설치

마이크론 Crucial SSD

 

  PCIe 4.0 x4 NVMe 1.4를 지원하는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SSD를 사용하기 위해 메인보드에 장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SI Z690 토마호크 메인보드는 M.2 SSD 슬롯에 방열판을 기본 제공하고 있어 설치를 위해 방열판 제거 후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SSD를 M.2 슬롯에 비스듬하게 넣어 아래로 눌러준 뒤 클립으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기가바이트 X570 어로스 엘리트 메인보드의 경우 1번 M.2 슬롯에만 방열판을 제공하고 있어 방열판 제거 후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SSD를 같은 방법으로 설치 후 나사를 이용해 고정하면 됩니다.

 

 

 

 

 

 

 

마이크론 Crucial SSD

전용 프로그램 소개

 

  새로 PC를 조립할 땐 바로 OS를 설치해 사용하면 되지만 기존 저장 장치를 업그레이드할 때는 OS를 새로 설치하기보다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기존 저장 장치를 통째로 백업하는 게 쉽고 빠른데요.

 

 

 

https://www.acronis.com/en-sg/promotion/CrucialHD-download/

  마이크론의 경우 기능이 제한적이긴 하지만 마이그레이션이나 백업 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Acronis를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https://www.crucial.kr/support/storage-executive

  또한 마이크론 Crucial SSD 최적화 및 상태 모니터링, 펌웨어 업데이트 등이 가능한 전용 관리 프로그램 Crucial Storage Excutive를 제공하고 있어 SSD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점 또한 마이크론 SSD의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스펙 이상의 뛰어난 성능

벤치마크 테스트

 

  Z690과 X570 메인보드에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SSD를 설치 후 크리스털 디스크 인포를 통해 SSD 정보를 확인해 보면 PCIe 4.0 x4 NVMe 1.4를 지원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메인보드 모두 1번 M.2 슬롯이 CPU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1번 슬롯에 설치 후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X570 메인보드의 경우 Crucial P5 PLUS SSD에 윈도우 11을 설치하고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우선 가장 많이 사용하는 크리스털 디스크 벤치마크를 실행해 보면 스펙상 읽기 6,600MB/s, 쓰기 4,000MB/s의 Crucial SSD의 실제 성능을 뛰어넘는 엄청난 속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측 AMD X570 메인보드에는 윈도우 11이 설치된 상태로 테스트를 진행했음에도 상당한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AS SSD 벤치마크 툴을 이용해 보 속도를 테스트해 보니 종합 접수에서 비어있는 상태의 SSD가 더 빠른 속도와 높은 종합 점수를 보여 주었으나 모두 빠른 속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ATTO 디스크 벤치마크 역시 스펙에 근접하는 빠른 속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PCIe 3.0 x4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SD에 비해 빠른 속도로 다양한 작업에서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나래온 더티 테스트를 진행해 보면 약 67% 구간까지 속도를 유지할 수 있었으며 이후 구간에서도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었지만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이 67.4%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성능 Crucial SSD

온도 확인

 

  상당히 빠른 속도를 보여준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PCIe 4.0 x4 NVMe M.2 SSD 작동 시 온도를 살펴보면 유휴상태에서 50도를 기록하고 있으며 나래온 더티 테스트와 벤치마크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상태에서 고성능 SSD답게 최대 69도까지 올라가는 다소 높은 온도를 기록했지만 사용에는 지장 없는 온도로 걱정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다용도 SSD 추천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M.2 SSD는 마이크론 자체 컨트롤러와 176단 3D TLC 낸드플래시, 디램을 사용하는 2280 규격의 NVMe 1.4 M.2 SSD로 스펙상 최대 읽기 6,600MB/s, 쓰기 4,000MB/s의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해 봐도 스펙에 근접하거나 넘어서는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SSD입니다.

 

  빠른 속도의 읽기/쓰기 성능으로 시스템 전체 속도 향상이 가능해 게이밍뿐 아니라 읽기/쓰기 작업을 반복하는 사용자나 O/S 용으로 사용을 하게 되면 확실한 성능 향상이 기대되는 만큼 조금 더 빠른 속도의 SSD를 사용하고자 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4920121

 

 

 

 

 

 

 

 

"이 사용기는 (주)아스크텍의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마이크론, #Crucial, #SSD, #CRUCIALSSD, #P5Plus, #NVMe, #아스크텍, #속도빠른SSD, #빠른SSD

무한의 가치를 가진

한국 전통문양 PC케이스

 

  PC케이스 트렌드는 전면 메시 디자인으로 뛰어난 쿨링 성능과 내부의 화려한 RGB LED 효과를 감상할 수 있는 측면 강화유리를 사용한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디자인을 중점으로 통풍 성능과 확장성까지 겸비하면 가장 좋은 PC 케이스라 할 수 있는데요.

 

  마이크로닉스에서 출시한 GM3-문 케이스는 전면 패널에 한국전통문양 한옥의 문살 디자인을 적용해 멋을 더한 미들타워 케이스로 디자인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당히 특색 있는 PC 케이스라 생각합니다.

 

 

 

출처: 마이크로닉스 상품설명 페이지

  한옥의 문살 디자인을 전면 패널에 담은 GM3-문 케이스 스펙을 살펴보면 최대 ATX 사이즈의 메인보드와 최대 360mm 수랭 쿨러, 340mm 그래픽카드까지 장착 가능한 미들타워 케이스입니다.

 

 

 

 

마이크로닉스 GM3-문

패키지 살펴보기

 

  마이크로닉스 GM3-문 케이스는 무지 박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박스 전면에 문 케이스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전면 패널의 한국 전통문양 문살 디자인을 전면에 그림으로 넣었으며, 후면에는 설명서를 대신해 간단하게 사양과 각 부품의 작창 위치를 표기해 두었습니다.

 
 
 

  박스를 오픈하면 가장 먼저 특색 있는 전면 패널 디자인이 눈에 들어오며, 기본 구성품으로는 120mm 쿨링팬 2개와 그래픽카드 지지대, 받침대, 각종 나사와 함께 PCI 슬롯 커버까지 제공되고 있으며, 깔끔하게 박스에 담아 두었습니다.

 
 
 
 
한국 전통문양 디자인
GM3-문 케이스 외형
 

  마이크로닉스 GM3-문 케이스 전면 패널은 풀 메시와 한국 전통문양 문살을 넣은 독특한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내부를 감상할 수 있도록 측면 강화유리를 채용하였습니다.

 

 

 

  갈색의 독특한 한옥 문살 모양을 사용한 전면 패널은 하단에 손을 넣어 쉽게 분리 가능하며, 뛰어난 쿨링 성능을 위해 메시 구성을 사용하고 있지만 먼지 필터가 없는 점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측면 강화유리는 탈부착 가능한 스윙 도어가 사용되었으며 자석이나 나사를 사용하는 대신 잠금장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윙 도어를 열고 내부를 살펴보면 블랙 앤 화이트 컨셉으로 PC를 꾸밀 수 있도록 외부에 화이트 색상이 사용되었지만 내부와 후면에는 블랙 컬러가 사용된 PC케이스입니다.

 

 

 

  반대쪽 측면 패널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후면은 파워서플라이를 하단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7개의 PCI 슬롯과 그래픽카드 수직 장착을 위한 세로형 PCI 슬롯 2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모두 재사용 가능합니다.

 
 
 

  I/O 포트는 상단에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원, 리셋, USB 2.0 A 타입 2개, USB 3.2 Gen1 A 타입 포트를 1개, LED ON/OFF 버튼과 마이크/헤드폰 단자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USB 3.2 Gen2 Type-C 포트가 미 적용된 부분은 조금 아쉽습니다.

 

 

  케이스 상단에는 자석식 먼지 필터를 사용하였으며 하단에는 걸쇠 방식의 먼지 필터를 사용하고 있어 상단과 하단으로 먼지 유입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미들타워 케이스의

뛰어난 확장성

 

  마이크로닉스 GM3-문 케이스를 조립해 보며 확장성과 내부를 살펴보면 미들타워 규격의 케이스로 m-ITX, m-ATX, ATX 규격의 메인보드까지 장착 가능하여 메인보드 선택이 자유롭습니다.

 

 

 

  체임버 방식을 사용하여 하단에 ATX 규격의 파워서플라이 설치가 가능하며, 파워서플라이 장착부의 진동 감소를 위한 스펀지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하단에는 2.5인치 또는 3.5인치 드라이브를 두 개까지 장착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드라이브 베이가 제공되며, 드라이브 베이 제거 시 파워서플라이 설치 공간이 최대 210mm까지 확보되어 높은 용량의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면서도 쉬운 케이블 정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측면에 쉽게 탈부착 가능한 2.5인치 SSD 브라켓을 2개 제공하고 있어 다수의 저장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께 좋을듯합니다.

 

 

  그래픽카드 장착은 최대 340mm까지 가능하며 전면 수랭 쿨러 장착 시 290mm까지만 설치 가능해 고사양 그래픽카드 장착이 불가할 수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길이가 긴 그래픽카드 장착 시 처짐 방지를 위한 지지대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수직 장착이 가능한 브라켓을 제공하고 있지만 라이저 케이블은 별도로 구매해야 합니다.

 

 

 

 

뛰어난 쿨링 성능을 지닌

미들타워 케이스

 

  특색 있는 한국 전통문양이 적용된 GM3-문 케이스는 전면 풀 메시와 함께 140mm 화이트 LED 링팬 3개와 후면에 1개 총 네 개가 기본 제공되고 있으며,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 또는 케이스 상단에 장착 가능한 120mm 쿨링팬 2개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어 기본 제공되는 쿨링팬 만으로도 충분한 쿨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팬 속도 조절이 불가능한 4핀 IDE 방식의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는 점으로 4핀 PWM 방식의 쿨링팬을 기본 제공했으면 좋았을 거란 생각을 합니다.

 

 

 

  또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일체형 수랭 쿨러 장착 공간은 상단에 최대 280mm, 전면 360mm까지 장착 가능하며, 최대 175mm까지 CPU 쿨러 설치가 가능하여 CPU 쿨러 선택이 자유롭습니다.

 

  다만 전면에 360mm 수랭 쿨러 장착 시 하단 드라이브 베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후면에는 케이블 정리를 위해 20mm 공간을 제공하고 있어 케이블 정리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 감성에 어울리는

화이트 140mm 링팬

 

  조립을 모두 마치고 전원을 넣어보면 투명한 측면 강화유리 넘어 기본 제공되는 화이트  LED 링팬이 깔끔하고 화려하게 시스템을 밝혀줍니다.

 

 

 

  전면 패널의 한국전통문양 디자인에는 화려한 RGB LED 보다 깔끔한 화이트 LED 팬이 가장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특색 있는 한국 전통문양

미들타워 케이스

 

  전면 패널에  한국전통문양 사용으로 색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닉스 GM3-문 케이스는 전면 풀 메시와 140mm 화이트 LED 팬 4개, 120mm 쿨링팬 2개를 기본 제공해 쿨링 성능에도 신경 쓴 미들타워 케이스입니다.

 

   또한 175mm CPU 쿨러와 상단과 전면에 360mm 일체형 수랭 쿨러 장착 가능하며 그래픽카드 수직 장착이 가능해 쿨링뿐 아니라 확장성과 튜닝까지 생각한 미들타워 케이스입니다.

 

  준수한 쿨링 성능에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특별한 디자인의 케이스를 찾고 계신다면 전면 패널에 한국 전통문양이 들어간 마이크로닉스 GM3-문 케이스를 추천드립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6710428

 

 

 

 

슬림한 펜타그래프 키보드

쿠거 VANTAR AX BLACK

 

  PC를 사용하면서 키보드와 마우스는 꼭 필요한 입력장치입니다.

 

  그중 키보드는 다양한 방식의 키 입력 방식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화려한 RGB를 담은 기계식 키보드가 대세가 되어 다양한 방식의 기계식 키 스위치를 탑재한 키보드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계식 키보드 보다 멤브레인이나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감을 더 좋아하는 분들도 있겠죠?

 

 

 

  이번 시간에는 15mm의 낮은 높이와 RGB LED가 적용된 펜타그래프 방식의 풀사이즈 키보드 COUGAR VANTAR AX BLACK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쿠거 VANTAR AX BLACK

패키지 살펴보기

 

  쿠거 VANTAR AX BLACK 키보드 박스에는 쿠거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주황색 로고와 색상이 들어가 있으며 키보드 사진을 넣어두었습니다.

 

 

 

  뒷면에는 COUGAR VANTAR AX BLACK 키보드의 특징을 적어 두었습니다.

 

 

 

  박스를 열어보면 깔끔하게 포장이 되어 있으며 내용물을 보두 꺼내보면 슬림한 키보드와 매뉴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뉴얼은 사용하기 편리하게 그림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모두 영어로 된 부분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알루미늄 CNC

유니바디 키보드

 

  COUGAR VANTAR AX BLACK 키보드를 살펴보면 그레이 컬러의 하우징에 블랙 키 캡을 사용한 풀사이즈 키보드로 방향키 상단에 쿠거 로고를 깔끔하게 넣어 두었습니다.

 

 

 

  키 캡을 살펴보면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답게 낮은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LED 투과가 잘될 수 있도록 글자 부분은 투명하게 되어 있습니다.

 

 

 

  약 1cm의 얇은 하우징은 알루미늄을 깎아 만든 유니바디로 상단과 측면에서 봤을 때 연결부가 없어 깔끔하고 세련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단을 살펴보면 쿠거 로고가 크게 찍혀 있으며,

 

 

 

  높이 조절 발과 미끄럼 방지 고무가 적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결 방식은 USB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기기에 연결해 사용 가능하며 얇은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키 캡을 하나 분리해 보면 X자 형태의 전형적인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를 사용하고 있으며 접점을 눌러주기 위한 러버돔이 확인됩니다.

  쉬프트키와 같이 길이가 긴 키에는 스태빌라이저가 적용되어 있어 한쪽에 치우쳐 키를 눌러도 정확하게 눌리도록 하고 있으며 낮은 높이와 짧은 스트로크는 노트북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편안하게 타이핑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8가지 모드의

화려한 RGB LED

 

  COUGAR VANTAR AX BLACK 키보드를 PC에 연결하면 기본 적용된 RGB LED가 화려하게 점등 됩니다.

 

 

 

  글자 부분만 투명 처리가 된 키 캡 사이로 은은하게 LED 불빛을 감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8가지 RGB LED 세팅이 가능하며, 속도 조절과 백라이트 방향까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합니다.

 

 

 

 

펜타그래프 특유의

키감과 타건 음

 

  실제 COUGAR VANTAR AX BLACK 키보드를 사용해 타 건해 보면 화려한 외형과 달리 부드럽지만 쫄깃한 펜타그래프 키보드의 키감을 그대로 살렸으며 상당히 조용해 사무실이나 집안에서 조용한 타이핑이 필요할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또한 X자 방식의 스위치와 낮은 높이의 키 캡으로 스트로크가 짧아 빠른 타이핑이 가능하지만 펜타그래프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다면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조금 걸릴 것 같기도 합니다.

 

 

 

쿠거 VANTAR AX BLACK

키보드의 특징

 

  게이머에게는 화려한 RGB나 키감도 중요하지만 게임을 즐길 때 사용되는 키들을 동시에 누르거나 연타를 할 때가 있는데요.

 

  이때 입력이 씹히지 않도록 COUGAR VANTAR AX BLACK 키보드는 입력 빈도가 높은 19개의 키에 대해 안티고스팅 기술을 적용해 원활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고 하여 실제 게임을 진행하면서 키 입력이 누락되는 경우 없이 원활한 게임 진행이 가능하였습니다.

 

 

 

  특히 게임을 즐기다 윈도우 키가 눌려 튕기는 잠깐의 순간 동안 승패가 갈리게 되는데요. 쿠거 VANTAR AX 블랙 키보드는 FN + WIN 키를 눌러 윈도우 키 잠금이 가능해 편안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FN+W 키를 이용해 방향 키와 WASD 키 간 상호 변경 입력이 가능해 다양한 게임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게이밍뿐 아니라 음악 재생이나 이메일, 계산기 등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키도 지원하고 있는 만큼 편리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슬림 하고 세련된

게이밍 키보드 추천

  여기까지 COUGAR VANTAR AX BLACK 키보드를 살펴보았는데요.

 

  알루미늄 CNC 유니바디 가공으로 상당히 슬림 하며 세련되고 깔끔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8가지 RGB 모드를 지원해 화려한 멋을 지니고 있습니다.

 

  게이밍을 위한 19개의 키 안티고스팅과 방향키 전환, 윈도우키 잠금 기능을 탑재하여 게이밍 키보드로의 활용성 또한 뛰어난 제품입니다.

 

  색상 또한 오늘 살펴본 AX BLACK 말고도 투명 키 캡이 사용된 AX, 핑크 컬러가 돋보이는 AX PINK까지 준비되어 있어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COUGAR VANTAR AX BLACK 키보드는 기계식 키보드보다는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를 선호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까지 겸비한 게이밍 키보드를 찾고 계신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4438276&cate=112782 

 

 

 

 

"본 사용기는 (주) 브라보텍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쿠거, #COUGAR, #VANTAR, #VANTARAX, #펜타그래프, #팬터그래프, #키보드, #게이밍키보드, #키보드추천, #멀티미디어키보드, #RGB, #RGBLED, #슬림키보드

QLC SSD

ADATA LEGEND 710

 

최근에는 PC를 조립하거나 완제품 구매 시 M.2 SSD나 SATA 방식의 SSD를 거의 필수로 넣고 있습니다.

빠른 속도의 읽기/쓰기 성능을 가지고 있는 SSD의 사용으로 시스템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인데요.

읽기/쓰기를 반복하는 작업을 많이 하는 사용자라면 더욱 크게 체감이 될 겁니다.

빠른 속도의 읽기 / 쓰기 속도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SSD 제품 중 이번에는 ADATA에서 새롭게 출시하는 LEGEND 710 512GB QLC SSD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DATA LEGEND 710

QLC SSD 스펙 확인

512GB와 1TB 용량으로 출시된 ADATA LEGEND 710 SSD의 스펙을 살펴보면 PCIe 3.0 x4를 지원하는 M.2 2280 규격의 DRAM LESS 제품으로 512GB의 경우 읽기 2,400MB/s, 쓰기 1,000MB/s의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읽기
쓰기
랜덤 IOPS 읽기
랜덤 IOPS 쓰기
SATA SSD
550MB/s
520MB/s
98K
90K
ADATA LEGEND 710
2,400MB/s
1,000MB/s
Up to 90K
Up to 150K

PCIe 3.0 X 4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ADATA LEGEND 710 512GB SSD는 SATA 방식의 SSD에 비해 상당히 빠른 읽기/쓰기 속도를 가지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열판 제공 SSD

ADATA LEGEND 710

ADATA LEGEND 710 512GB 패키지를 살펴보면 푸른색과 금색의 조합으로 촌스러울 수 있는 색상을 고급스럽게 표현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케이스에 고정하는 형태로 안전하게 포장되어 있으며 방열판이 함께 들어있는 구성으로 별도로 방열판을 구매하기 위한 추가 비용 발생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ADATA LEGEND 710 SSD 외형을 살펴보면 M.2 2280 규격으로 상단에 스티커 없이 컨트롤러와 낸드플래시가 노출되어 있으며, 2280 규격으로 라이터와 크기 비교 시 상당히 작은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품명과 시리얼 번호 등이 적힌 스티커는 후면에 부착되어 있어 방열판 사용 시 스티커 훼손 걱정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NVMe M.2 방식을 사용하는 만큼 메인보드에 M.2 슬롯이 있어야 장착 가능하며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에는 최소 1개 이상의 M.2 슬롯이 존재하고 있지만 구입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함께 제공되는 방열판은 자칫하면 촌스러워질 수 있는 파란색을 사용하고 있지만 금색으로 글자를 넣어 고급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얇은 두께로 M.2 슬롯에 설치 시 그래픽카드 또는 CPU 쿨러와 간섭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방열판 후면의 양면테이프 방식의 서멀 테이프를 이용해 부착하는 방식으로 메인보드에 기본 제공되는 방열판이 없을 경우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러와

낸드플래시 확인

상단에 스티커가 없는 ADATA LEGEND 710 SSD는 컨트롤러와 낸드플래시를 확인해 보면 PCIe 3.0 x4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SLC 캐싱, HMB를 지원하는 Realtek RTS5766DL 디램리스 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낸드플래시는 SpecTek PF665-25AS 96단 3D QLC 4개가 앞면에만 사용되었습니다.

케이블 없이 깔끔한

M.2 SSD

M.2 슬롯에 모두 방열판이 기본 제공되는 모델인 Z690 메인보드에 ADATA LEGEND 710 SSD 설치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열판을 제거하고 M.2 슬롯에 비스듬하게 ADATA LEGEND 710을 끼운 다음 아래로 내려 클립을 잠근 다음 방열판 보호필름을 떼네고 방열판을 장착하는 순서로 사용 중인 메인보드에 따라 다르지만 메인보드 구매 시 함께 제공되는 작은 나사로 SSD를 고정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M.2 SSD 사용 시 케이블이 없어 간편한 설치와 SATA 방식 대비 편하고 깔끔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QLC SSD LEGEND 710

벤치마크 테스트

메인보드에 설치 후 윈도우 11을 설치하면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 없이 윈도우 11에서 ADATA LEGEND 710 SSD를 인식합니다.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사용해 LEGEND 710 SSD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크리스탈 디스크 벤치를 가장 먼저 실행해 보면 스펙에 근접하는 측정치가 나온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AS SSD를 사용해 보았는데요.

이번에는 스펙에 조금 못 미치는 속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상당히 빠른 읽기 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TTO DISK 벤치마크 역시 스펙에 가까운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해 속도를 측정해 보면 읽기 속도가 상당히 빠른 만면 쓰기 속도가 조금 아쉬운데요.

쓰기 작업이 많은 사용자보다 읽기 작업이 많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SSD라 생각합니다.

방열판 유. 무에 따른

온도 변화

발열 테스트는 SSD에 지속적인 부하를 줄 수 있는 나래 온 더티 테스트를 이용해 진행하였습니다.

메인보드에 장착된 방열판을 사용한 결과로 상당히 낮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생각보다 낮은 온도에 놀랐습니다.

방열판을 제거 후 온도를 살펴보면 53도까지 상승하긴 했지만 사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는 온도로 이때 속도 저하 등의 문제 발생 없이 사용 가능했습니다.

편리하게 사용하는

전용 프로그램 제공

 

 

 

ADATA

Support

www.adata.com

ADAT는 SSD를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ADATA SSD ToolBox는 장착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와 온도, 잔여수명을 비롯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ADATA SSD의 펌웨어 업데이트까지 가능합니다.

또한 기존 SSD나 HDD의 자료를 한 번에 백업할 수 있는 마이그레이션 프로그램인 Acronis True Image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를 배려하고 있는 제품입니다.

 

 

 

 

게이밍을 위한 SSD 추천

ADATA LEGEND 710

이번에 살펴본 ADATA LEGEND 710 512GB QLC SSD는 디램리스 제품이긴 하지만 SLC 캐싱 적용으로 최대 읽기 / 쓰기 속도 유지 능력도 뛰어난 SSD로 쓰기 속도가 읽기 대비 느리긴 하지만 간단한 작업용이나 게임용 SSD로 사용하기 위한 SSD 선택을 고민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조금 더 빠른 쓰기 속도가 필요하다면 1TB가 1,800MB/s의 쓰기 속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특히 방열판을 기본 제공하고 있는 만큼 메인보드 M.2 슬롯에 방열판이 없다면 추가 비용 발생 없이 구입 가능한 만큼 더욱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 사용기는 (주)이브레인테크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SSD, #ADATA, #QLC, #QLCSSD, #SSD추천, #게이밍SSD, #게이밍, #가성비SSD, #SSD설치, #M_2SSD, #LEGEND, #LEGEND710, #512GB

하이엔드급 성능의

수랭쿨러 잘만 Alpha28

잘만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CPU쿨러일 정도로 CPU쿨러를 잘 만드는 회사입니다.

잠시 주춤했던 잘만은 최근 다양한 공랭과 수랭쿨러 발표를 통해 CPU쿨러 라인업을 완성해가고 있습니다.

특히 저렴한 가격에 뛰어난 성능의 일체형 수랭쿨러 제품들을 연달아 출시하고 있는데요.

우선 잘만 Alpha28 수랭쿨러 스펙을 살펴보면 140mm 쿨링팬 두 개를 사용하는 280mm 규격으로 240mm 대비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을듯합니다.

360mm 수랭쿨러 설치가 불가능한 PC케이스 사용시에도 280mm까지는 대부분 설치가 가능하여 호환성도 뛰어날듯하네요.

잘만 Alpha28

수랭쿨러 패키지

깔끔한 디자인의 잘만 Alpha28 패키지는 뒷면에 스펙과 특징을 잘 설명해 두었네요.

박스를 개봉하면 배송 중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하고 깔끔하게 포장되어 있으며,

최신 CPU 소켓 지원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잘만 Alpha28

수랭쿨러 살펴보기

잘만 Alpha28 CPU쿨러 헤드와 라디에이터는 튜브를 통해 미리 조립되어 있는 일체형 수랭 쿨러입니다.

펌프 헤드는 스피어 펌프 디자인으로 유니크한 감성을 가지고 있으나 호 불호가 갈리는 디자인이 될듯합니다.

펌프 헤드는 360도 회전이 가능해 설치 방향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로고를 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는 점은 잘만 Alpha 시리즈 CPU쿨러 최대의 장점이 될 수 있을듯합니다.

펌프 하단 베이스는 순수 구리를 이용하고 있으며 고성능 고효율 트리플 체임버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니 성능이 상당히 기대됩니다.

펌프 측면에는 3핀 펌프 커넥터와 5V ARGB 커넥터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직조 슬리빙 처리된 400mm 길이의 튜브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해 설치 후 튜브 정리도 깔끔하게 진행 가능할듯하며,

라디에이터 연결부 마감도 깔끔하게 처리해 누수 걱정은 없어 보입니다.

280mm 규격의 알루미늄 재질의 촘촘한 냉각핀을 사용한 라디에이터는 CPU의 열기를 빠르게 식혀 줄 수 있을듯하며,

양 측면에는 잘만 로고를 금속 스티커를 이용해 넣어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봉된 쿨링팬은 140mm 규격으로 ARGB 지원을 통해 화려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반투명 블레이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5V ARGB 커넥터와 PWM 제어 가능한 4핀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쿨링팬에는 양쪽 모두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품질 고무패드를 사용하였으며, 라디에이터에 설치하게 되면 쿨링팬 사이에 빈 공간 없이 딱 맞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잘만 Alpha28

수랭쿨러 설치

잘만 Alpha28 CPU 쿨러는 인텔 12세대 엘더레이크까지 지원을 하고 있어 다양한 CPU에 적용 가능한 수랭 쿨러입니다.

AMD 라이젠 5 5600X AM4 소켓에 CPU 쿨러 설치를 위해 CPU쿨러 설명서를 먼저 정독한 뒤 설치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존 CPU 쿨러 탈거 및 청소.

2. AM4 브래킷 조립.

3. 펌프 헤드 홈에 브래킷 끝까지 밀어 넣기.

4. CPU 상단 서멀 그리스 도포.

5. 펌프 헤드 조립.

6. 라디에이터 케이스에 고정.

7. 팬 커넥터 체결.

8. 5V ARGB 커넥터 체결.

워터 블럭 헤드 잘만 로고를 원하는 위치로 돌리면 조립이 완료됩니다.

AM4 소켓 조립 시 백플레이트 변경 없이 사용 가능해 쉽고 빠르게 조립이 가능하네요.

화려한 시스템 구축 가능한

Adress RGB LED 적용

설치 완료 후 전원을 넣어보면 화려한 ARGB LED가 시스템 내부를 환하게 밝혀줍니다.

메인보드에 ARGB LED 헤더가 있다면 원하는 색상으로 조합해 화려한 내부를 꾸밀 수 있습니다.

 
잘만 Alpha 수랭쿨러 구성품에는 ARGB LED 헤더가 없는 메인보드 사용자를 위해 별도의 ARGB LED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어 추가 비용 발생 없이 ARGB LED 헤더가 없는 메인보드 사용자도 화려한 ARGB LED를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습니다.

잘만 Alpha28 수랭쿨러

성능 및 소음 테스트

잘만 Alpha28 CPU쿨러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라이젠 5 5600X 시스템에 P.B.O.만 적용해 보았습니다.

우선 부팅 후 10분 경과 후 10분 동안 풀 로드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61도에서 더 이상 온도 상승 없는 안정적인 모습으로 가격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로 아이들 상태로 들어가면 빠르게 CPU 온도를 낮춰 33도까지 떨어지는 모습으로 쿨링 성능이 상당히 좋습니다.

 
 
작동 소음은 무부하 시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조용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나 부하가 커짐에 따라 소음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소음이 작아 정숙한 시스템을 꾸미기에 충분합니다.

5년 동안 누수 보장하는

잘만 CPU쿨러

보급형 가격에 하이엔드급 성능에 가까운 잘만 Alpha28 수랭 쿨러는 5년 무상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오랜 시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랭 쿨러입니다.

특히 누수로 인한 사고 발생까지 모두 보상받을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 가능한 CPU 쿨러입니다.

이렇게 긴 기간 동안 누수 보장까지 하고 있다는 건 성능과 품질에 그만큼 자신이 있다는 거라 생각합니다.

최고의 가성비 수랭쿨러

잘만 Alpha28

잘만 Alpha28 CPU 쿨러는 280mm 규격의 라디에이터 사이즈로 다양한 케이스에 호환 가능한 수랭 쿨러입니다.

저렴한 가격 대비 뛰어난 성능으로 가격 부담 없이 좋은 성능의 수랭쿨러 사용이 가능해 수랭쿨러 입문용이나 가성비 제품으로 사용하기 상당히 좋은 수랭 쿨러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케이스에 호환 가능하며, 화려하지만 정숙한 시스템을 위한 CPU 쿨러를 찾고 계신다면 잘만 Alpha28 수랭 쿨러를 추천드립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6048772

 

잘만 Alpha28 (BLACK)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변기기>쿨러/튜닝, 요약정보 : CPU 쿨러 / 수랭 / 팬 쿨러 / 팬 크기: 140mm / 25T / 베어링: Long Life / 3-4핀 / 최대 소음도: 최대 34dBA / 1600 RPM / 최대 풍량: 83.07 CFM / 최대 풍압: 1.7

prod.danawa.com

 

 

 

알파스캔 모니터암과
데스크 테리어 진행

요즘 책상 위 인테리어라고 데스크테리어가 유행인데 늦게나마 저도 해 보기로 했습니다.

책상 대신 PC를 올려두고 사용하던 서랍장을 버리고 새 책상을 구입해서 책상 위를 나름 정리해 보았어요.

하지만 모니터가 떡하니 자리를 잡고 있어 모니터 하단에 사용하지 못하는 공간과 함께 깔끔하지 않은듯한 기분이 들더라고요.

깔끔한 책상을 위해 모니터암 설치를 생각하고 찾아보니 다양한 브랜드의 모니터암 중 AS가 좋기로 소문난 알파스캔에서도 모니터암이 나오더라고요.

싱글과 듀얼 모니터암 중 모니터 한 대만 사용하니까 싱글 AM 200S 모델을 선택~!

알파스캔 AM 200S 모니터암 설치를 위해 책상 상판 두께 20 ~ 100mm 이내를 확인해야 합니다.

구멍이 있다면 25~90mm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해요.

다행히 사용 중인 베이직 데스크는 28mm로 장착 가능~!!

얼른 설치해 보기 위해 내용물을 열어보니 조립에 필요한 육각렌치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었어 별도의 공구 준비 없이 조립 가능합니다.

간편하게 설치하는
알파스캔 모니터암

제가 사용하는 책상에는 별도의 구멍이 없어 클램프 타입으로 설치할 거예요.

클램프 타입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품은 생각보다 적었어요.

우선 클램프 설치에 필요한 부속만 꺼낸 후 (C) 나사를 이용해 받침대와 모니터암 결합!

미끄럼 방지 고무를 책상 상판이 만나는 곳과 하단 클램프에 부착한 뒤.

모니터암 클램프를 책상 두께에 맞게 조절한 뒤 잘 조여 단단히 고정해 주면 됩니다.

그리고 모니터 뒷면 베사홀을 이용해 모니터암에 고정해 줍니다.

알파스캔 AM200S 모니터암 베사홀 규격은 75 X 75mm와 100 x 100mm를 지원하며,(A / B) 두 가지 타입의 모니터 고정용 나사를 제공하고 있으니 모니터에 맞는 나사를 사용하면 됩니다.

모니터암 고정은 100mm 베사홀 사용 시 와셔와 나사를 모니터 상단 베사홀에 조여준 상태에서 모니터 암에 나사를 걸치면 간단하게 설치 가능했습니다.

이 상태에서 나사를 전부 단단히 조여주면 되는데요! 나사 길이 가 조금 길어 와셔를 모두 2장씩 대 주었습니다.

무리하게 힘을 가할 경우 모니터가 파손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마지막으로 케이블 커버를 이용해 케이블까지 깔끔하게 마무리하면 알파스캔 AM 200S 모니터암 설치 끝~

다양하게 활용하는
알파스캔 모니터암

모니터암 설치를 마치고 기능을 살펴보면 최소 110mm ~ 최대 414mm까지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모니터를 맞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높낮이 조절 시 모니터의 무게에 따라 장력 조절이 필요한데요.

함께 포함된 육각렌치를 이용해 장력조정 나사를 돌려 간편하게 장력 조절이 가능합니다.

앞뒤 거리는 최소 70mm ~ 412mm까지 조절 가능하며,

상하 각도 조절은 -85 ~ 15도까지 넓은 범위로 조정 가능.

좌우로 90도까지 모니터 스위블과 좌우로 180도까지 피벗까지 가능해 원하는 위치로 원하는 각도대로 설정해서 사용 가능한 편리한 모니터 암입니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
바른 자세 유지 도움

 

알파스캔 모니터암 AM 200S 설치 후 모니터가 공중에 떠 있어서 그런지 상당히 깔끔해 보이고, 모니터 아래 죽어있던 공간 활용이 가능해 다른 작업을 위한 작업 공간 활용이 가능한 넓고 효율적인 책상이 되어 동영상 강의를 보면서 책을 펼쳐두거나 다른 작업을 하기에도 여유 있는 책상 위가 되었습니다.

특히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한 모니터 암을 통해 사용자의 눈높이와 자세에 따라 모니터 각도와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해 바른 자세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책상 위에 올려둔 모니터를 사용하다 보면 목이 앞으로 나오거나 엉덩이를 앞으로 뺀 자세가 되기 쉬운데 알파스캔 AM 200S 모니터암 사용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목과 어깨, 허리에 부담이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데스크테리어의 완성
알파스캔 AM 200S 모니터암

알파스캔 AM 200s 모니터암 활용으로 좁게만 느껴지던 책상 위를 넓은 공간으로 만들면서 케이블 정리까지 깔끔하게 하고 나니 원하던 데스크테리어가 어느 정도 완성된 것 같습니다.

조금 더 깔끔한 책상 위를 만들어 보고자 무선 마우스와 키보드, 데스크패드까지 가져다 두니 한결 더 깔끔해진 모습이죠?

아무리 깨끗하게 정리하고 꾸며보아도 뭔가 아쉬웠던 책상 위~!

알파스캔 AM200S 모니터암 하나로 확 달라진 분위기와 편의성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데스크 테리어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넓어진 공간으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책상 위를 만들 수 있고 바른 자세까지 유지 가능한 알파스캔 AM 200S 모니터 암으로 도전해 보시는 걸 강력 추천드려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16777997

 

알파스캔 AM 200S 싱글 모니터암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모니터/사운드>모니터>모니터 암/거치대, 요약정보 : 모니터 암 / 1대 / VESA홀: 75 x 75mm, 100 x 100mm / 피벗(회전) / 엘리베이션(높낮이) / 스위블(좌우) / 틸트(상하) / 지원 크기: 17

prod.danawa.com

 

60g이하 초경량 무선마우스

쿨러마스터 MM731 GAMING MOUSE

 

PC나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장치는 마우스라 생각합니다.

특히 게이머의 경우 마우스에 따라 게이밍 성적이 달라질 수 있어 선택에 더욱 신중해지는데요.

 

 

external_image

다양한 마우스 중 이번에 살펴볼 마우스는 다양한 쿨링시스템과 파워서플라이, PC 케이스와 주변장치 등 하드웨어 제조로 유명한 쿨러마스터의 초경량 무선마우스 MM731 GAMING MOUSE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xternal_image

저는 이미 쿨러마스터의 초경량 마우스 MM711 골드 버전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60g대의 가벼운 타공 마우스로 상당히 만족하면서 사용을 하고 있었는데 무선 키보드를 사용하면서 무선마우스가 사용하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들었는데요.

 

 

external_image

타공이 안된 초경량마우스 중 쿨러마스터 MM731을 선택해 보았습니다.

쿨러마스터 특유의 보라색을 기본으로 한 아담한 사이즈의 박스에는 마우스 사진과 특징들을 표기해 두었습니다.

60g이라는 가벼운 무게가 눈에 들어오네요.

 

 

external_image

뒷면에는 다양한 나라의 언어로 설명을 해 두었지만 한글을 보이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external_image

뒷면 상단을 보면 USB, 2.4GHz, 블루투스 세 가지 연결 방식을 표기해 두었습니다.

다양한 연결을 지원하고 있어 다양한 기기에 연결해 사용이 가능해 보입니다.

 

 

external_image

박스를 열어 내용물을 모두 꺼내보면 쿨러마스터 MN731 무선 마우스와 충전을 위한 USB C 타입 케이블, 무선 리시버, 간단한 사용설명서, 마우스 그립 테이프가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external_image

매뉴얼을 살펴보면 간단하게 설명이 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

블랙과 화이트 두 가지 색상 중 화이트 모델의 외형을 살펴보면 오른손잡이용 마우스로 왼쪽 사이드에 2개의 버튼을 가지고 있는 비 대칭형 마우스로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는 쿨러마스터의 로고가 위치하고 있으며 RGB LED를 위해 로고 테두리 부분이 반투명으로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

쿨러마스터 초경량마우스 MM731은 5V 500mA의 배터리를 탑재한 무선 마우스로 충전을 위해 USB C 타입 포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USB C타입 케이블을 PC나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유선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 입니다.

500mA의 넉넉한 배터리 용량으로 블루투스 연결 시 최대 190시간, 2.4Ghz 연결 시 최대 72시간의 넉넉한 사용 시간으로 배터리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무선 충전 마우스입니다.

 

 

external_image

바닥을 살펴보면 마우스 피트가 넓은 면적에 붙어 있는 모습과 함께 무선 모드 변경 스위치, 센서, USB 리시버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센서는 너무나도 유명한 PIXART 사의 PMW3360의 후속작이며 무선마우스를 위한 PMW3389를 사용하여 최대 16,000DPI까지 조절 가능한 최상급의 센서를 사용하고 있는 무선 마우스로, 진정한 무선 게이밍 마우스가 아닐까 합니다.

 

 

external_image

한 가지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무선 리시버 수납 방법으로, 초소형 리시버를 마우스 하단에 덮개를 열어 삽입하는 방식으로 덮개 분실 위험이 있어 다른 마우스처럼 자석 방식이나 덮개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방식을 사용했다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또한 구성품 중 특이한 구성품이 하나 포함되어 있는데요, USB C 케이블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환 젠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길이가 상당히 넉넉한 케이블을 기본 제공하고 있지만, 길이가 아쉬울 때를 대비해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환 젠더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어 사소한 것까지 신경을 쓴 모읍을 볼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

실제 사용을 위해 노트북에 블루투스 연결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external_image

가장 좌측 블루투스 모드로 선택 후 페어링 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번호를 LED 색상을 보고 선택합니다.

3개까지 블루투스 멀티페어링을 지원하는 만큼, 노트북이나 PC,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 사용이 가능할듯합니다.

 

 

external_image

그리고 스위치 상단의 페어링 버튼을 길게 눌러주면 LED가 빠르게 깜박 거리며 페어링 대기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

이때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등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장치에서 검색을 하게 되면 MM731 Hybrid Mouse가 목록에 나타나게 되며,

 

 

external_image

MM731 hybrid Mouse를 선택하게 되면 깜빡이던 LED가 꺼지면서 블루투스 페어링이 완료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해 2.4Ghz 무선 모드와 USB 유선 모드도 사용이 가능하여 블루투스가 없는 장치에서도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external_image

특히 쿨러마스터의 초경량 마우스 케이블은  이전에 사용 중인 MM711과 같이 상당히 부드러운 재질로 케이블 꼬임이나 뻣뻣한 케이블로 마우스를 움직일 때 이질감이 전혀 없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

마우스 상단의 RGB LED는 화려한 색상과 다양한 모드로 연출이 가능하여 취향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며, LED를 싫어하시는 유저분들을 위해 LED를 끌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external_image

RGB LED 설정 방법은 휠 버튼과 사이드 버튼 아래쪽을 동시에 눌러 변경 가능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도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했습니다.

 

 

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

마우스 사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그립감의 경우 손이 작은 제 손에 쏙 들어오는 크기로 부담 없이 마우스를 잡을 수 있었으며, 오른손잡이용 비 대칭으로 손에 착 감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59g의 가벼운 무게와 넓은 면적의 마우스 피트 사용으로 인해 상당히 부드럽고 가벼운 움직임이 가능해 게이밍을 즐기기에 최적화된 초경량 게이밍 마우스가 아닌가 합니다.

 

 

external_image

쿨러마스터 MM731 무선 마우스는 500mA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모드 사용 시 최대 190시간, 2.4GhZ 무선 모드 사용 시 최대 72시간의 긴 사용시간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59g이라는 정말 가벼운 무게로 가볍고 민첩한 움직임이 가능한 마우스입니다.

 

특히 PIXART 사의 고성능 광학 센서 PMW3389 센서 사용으로 최대 16,000DPI까지 DPI 설정이 가능하여 해상도에 따라 자유롭게 DPI 선택이 가능하면서도 부드럽고 정확한 포인팅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일부 블루투스 마우스 사용 시 커서가 튀는 현상이라든지 지연 현상을 느낄 수 없었으며, 가벼운 무게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전혀 부담이 없었습니다.

 

다양한 무선마우스 중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성능의 마우스를 찾고 계신다면 쿨러마스터의 MM731 게이밍마우스를 추천드립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5399923

external_image

 

'본 사용기는 대양케이스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쿨러마스터, #대양케이스, #블루투스마우스, #마우스, #무선마우스, #경량마우스, #초경량마우스, #게이밍마우스, #가성비마우스, #가성비마우스추천, #게이밍마우스추천, #초경량마우스추천, #경량마우스추천, #무선마우스추천, #블루투스마우스추천, #PMW3389, #pixart

+ Recent posts